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aster RCNN
- 연세대학교 인공지능학회
- Googlenet
- YAI
- rl
- NLP
- RCNN
- nerf
- GAN #StyleCLIP #YAI 11기 #연세대학교 인공지능학회
- NLP #자연어 처리 #CS224N #연세대학교 인공지능학회
- 컴퓨터비전
- CS224N
- CS231n
- PytorchZeroToAll
- VIT
- transformer
- 강화학습
- Fast RCNN
- YAI 8기
- 컴퓨터 비전
- CNN
- YAI 11기
- YAI 9기
- GaN
- cv
- Perception 강의
- 자연어처리
- cl
- YAI 10기
- 3D
- Today
- Total
연세대 인공지능학회 YAI
[논문 리뷰] Focal Self-attention for Local-Global Interactions in Vision Transformers 본문
[논문 리뷰] Focal Self-attention for Local-Global Interactions in Vision Transformers
_YAI_ 2023. 1. 14. 18:09YAI 9기 김석님이 비전논문팀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Focal Self-attention for Local-Global Interactions in Vision Transformers
0. Abstract
- 목적
- Self attention을 통한 짧은 것에서부터 긴 단위까지 visual dependency를 모두 capture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서도 quadratic computational overhead로 인한 resolution이 높은 task에 관해서 어려운 상황도 극복할 수 있어야 함
- Method
- SoTA model의 경우 coarse-grain이나 fine-grained local attention을 적용하여 computational & memory cost와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을 채택함
-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들은 Multi-Layer transformer의 self-attention mechanism의 modeling에 문제를 가져오기 때문에 sub-optimal한 방법에 그치지 않음
- Focal self-attention mechanism에서 각 token은 인접한 token을 정밀하게 구성을 구체화(fine granularity)하고 멀리 있는 경우에는 coarse granularity를 보이는 특징을 가짐
- Focal Transformer Proposal
- Focal self-attention이라는 fine-grained local과 coarse-grained global interaction을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mechanism을 제시함
- 위 mechanism을 사용하여 Vision Transformer model을 변형한 Focal Transformer를 선보여 SoTA의 ViT보다 image classification과 object detection 면에서 모두 월등히 뛰어난 성능을 보임
1. Backgrounds
Transformers
- NLP에서 transformer가 널리 알려진 model인 만큼 CV에서도 이를 사용하려는 수요가 늘어남
- ViT에서 처음으로 transformer를 CV에 적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full-Transformer model이 image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semantic segmentation 등에 모두 좋은 성능을 보일 뿐만아니라 action recognition, object tracking, scene flow estimation 등에도 좋은 결과를 보임
- Self-attention
- 대개 사용하는 CNN과는 달리 Transformer의 가장 큰 feature이자 핵심
- 각 transformer layer마다 global content에 따라 model에 필요한 region 별 image 자료와 short-range와 long-range 모두 각각 상호작용을 진행
- 이러한 self attention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 CNN같이 local surrounding은 물론 global context까지 동시에 포착이 가능함
- 이런 점에서 object detection과 segmentation과 같이 image의 resolution이 높은 task의 경우, global하고 fine-grained한 self-attention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grid에 따른 quadratic computational cost를 절감한다는 점에서, self-attention 사용은 거의 자명하다.
Proposal
- Focal transformer는 새로운 방식의 self attention mechanism을 제안하여 resolution이 높은 input에 대하여 Transformer layer에서 local, global 상호작용이 모두 진행되도록 제안
→ 이때, 근접한 region이 멀리 떨어진 region보다 visual dependency가 더 크다는 점에서 local region에는 fine-grained self attention을 , global region에는 coarse-grained attention을 적용한다는 것이 차이가 있음
- 이때, feature map에 있는 query token은 인접한 곳 중에서 가장 granularity가 큰 곳에 attend하고 멀리 떨어진 곳의 경우 이를 summarize한 token을 attend하여 coarse-grained한 visual dependency를 포착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query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granularity가 coarse하도록 설계함
→ 이런 점에서 이와 같은 구조는 full self-attention mechanism과는 달리 self-attention 연산에 사용되는 token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면서 resolution이 높은 feature map을 완전히 cover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고 이를 각 token이 focal manner에 따라 attend한다는 점에서 focal self-attention이라 칭함
- 이러한 focal self-attention을 기반으로 설계한 mechanism이 focal transformer이고 아래와 같이 두 가지 과정을 거침
- Resolution이 높은 image에 관하여 합리적인 연산 비용을 사용할 수 있도록 multi-scale 구조로 설계
- Feature map을 multiple window로 나누어 동일한 주변 공간을 공유하도록 하여 각 token마다 focal self-attention을 적용하는 불필요한 행동을 없앰
- 이와 같은 focal self-attention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 image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 segmentation 등 종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기존 transformer의 model size와 complexity가 유사함에도 SoTA와 비교하였을 때 월등히 좋은 결과를 보임
2. Architecture
Focal Transformer
Resolution이 높은 vision task에도 적용하기 위해 위와 같이 early stage에서 high resolution feature map을 얻는 구조로 설계하여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침
- Input image($I \in R^{H\times W \times 3}$)의 경우 4x4 patch로 partitioning 진행하여 $4\times 4 \times 3$ 차원의 $\frac H 4 \times \frac W 4$개의 visual token을 output으로 정함
- Patch embedding layer에 convolution layer를 filter size를 4x4, stride도 4로 지정하여 $d$차원의 hidden feature로 projection 진행
이로부터 얻은 feature map은 4개의 stage의 focal Transformer block을 거침
- 이때, 각 stage마다 focal Transformer block은 $N_i$($i \in {1,2,3,4}$)개의 focal Transformer layer로 구성됨
- 각 stage마다 patch embedding layer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factor 2만큼의 공간을 축소하고 feature dimension은 2만큼 증가함
Image classification의 경우 마지막 stage의 output의 평균을 받아 classification layer에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함
Object detection의 경우 feature map의 detection 방식에 따라 최근 3개나 4개 전부의 stage를 detector head에 feed를 진행함
여기서 input feature의 dimension을 $d$, model capacity의 경우 각 stage의 focal Transformer layer의 개수 ${ N_1,N_2,N_3,N_4}$에 따라 customizing이 진행됨
Self-attention
기존의 방법의 경우 fine-grain의 short과 long-range interaction을 모두 다룰 수 있지만 resolution이 높은 feature map의 attention의 경우 computational cost가 상당히 많이 들게 됨
→ Feature map의 size가 $\frac H 4 \times \frac W 4 \times d$의 경우, self-attention의 complexity가 $O((\frac H 4 \times \frac W 4 )^2d)$로 object detection에서는 $min(H,W)$가 적어도 800은 요구된다는 점에서 시간과 메모리를 상당히 많이 소모하는 것을 알 수 있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focal self-attention 방법을 사용함
3. Approach
Focal self-attention
- Transformer layer를 resolution이 높은 input에서도 scale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계
- 이는 fine-grain 단위로 모든 token을 attend하는 대신 이러한 fine-grained token을 local하게만 적용하고 global하게는 이를 summarize한 결과를 사용함
-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많은 region을 standard self-attention만큼 cover가 가능한 상황에서도 computational cost를 줄일 수 있음
- Query position에서 주변에 coarse-grain을 사용하면 focal self-attention은 동일한 양의 visual token을 attend하면서 더 넓은 단위의 receptive field를 얻을 수 있음
- 이와 같은 focal mechanism을 사용하면 long-range의 self attention을 시간과 메모리를 상대적으로 덜 사용하면서도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는 token이 summarize되었다는 점에서 애초에 인접한 장소에 요구되는 token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 일이다.
- 하지만, 현실적으로 각 query position마다 인접한 token에 대하여 extraction을 진행하는 것은 access 가능한 query에 있는 token마다 duplication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시간과 메모리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게 됨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체로 사용하는 방법은 input feature map을 window 형태로 분할을 하는 방식을 사용
- 이에 착안하여 focal Transformer에서는 window level의 focal self-attention을 적용함
- Feature map이 $x \in R^{M\times N \times d}$이고 size가 $M\times N$인 경우 아래와 같은 과정 진행
- Feature map을 size가 $s_p \times s_p$인 grid window로 분할 진행
- 이때 token을 개별적으로 탐색하지 않고 각 window의 인접 지역을 탐색하는 방식을 진행하여 목표한 elaboration 진행
Window-wise attention
- 명료함을 위해서 아래와 같은 term을 미리 정의함
Focal level($L$) : Focal self attention을 통해 extract한 token의 granularity level
Focal window size($s_w^l$) : Level $l \in { 1,...,L}$에서의 summarized token으로부터 받는 sub-window의 size
Focal region size($s_r^l$) : Level $l$에서 horizontal하고 vertical하게 attend된 sub-window의 개수
위와 같은 3개의 term을 정의한 다음 self-attention module을 아래와 같은 두 가지 과정으로 세분화 할 수 있음
Sub-window pooling
Feature map $x \in R^{M \times N \times d}$에 대하여 spatial dimension이 $M\times N$이고 feature dimension이 $d$일때, 모든 $L$ level에 관하여 sub-window pooling을 모두 진행
Focal level $l$에서, $x$를 $s_w^l \times s_w^l$ size의 grid의 sub-window로 분할함
이후에는 단순한 linear layer $f_p^l$을 추가하여 sub-window에 pooling을 진행하여 아래와 같은 식을 만족함
$$
x^l = f_p^l(\hat x) \in R^{\frac M {s_w^l} \times \frac N {s_w^l} \times d} \ \hat x = Reshape(x) \in R^{(\frac M {s_w^l} \times \frac N {s_w^l} \times d) \times ({s_w^l} \times {s_w^l})}
$$Pooling을 진행한 feature map ${x^l}_1^L$은 fine-grain coarse-grain 양측 면에서 모두 풍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이때, input feature map의 첫 번째 local level에 $s_w^l=1$로 setting하였다는 점에서 sub-window pooling을 진행할 필요는 없음
기본적으로 focal window의 size가 대체로 매우 작은 것을 감안하면 sub-window pooling에 필요한 추가적인 parameter는 무시할 만하다.
Attention computation
$L$ level에 관하여 pooling을 완료한 feature map ${x^l}^L_1$를 얻게 되면 3개의 linear projection layer $f_q,f_k,f_v$를 사용하여 첫 번째 level에서부터 query를 연산하고 key와 value를 모든 level에서 연산을 진행함
$$
Q = f_q(x^1), \ K={K^l}_1^L = f_k({x^1,...,x^L}), \ V={V^l}_1^L = f_v({x^1,...,x^L})
$$Focal self-attention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feature map의 각 query token에 관하여 인접한 token의 extraction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고 이때 size $s_p \times s_p$의 window partition 내의 token의 경우 인접한 요소들을 서로 공유함
$i$번째 window의 query $Q_i$의 경우, $s_r^l \times s_r^l$ key와 value를 $K^l$과 $V^l$로부터 추출을 진행하고 모든 $L$에 관하여 key와 value를 모두 모아서 $K_i = {K_i^l,...K_i^L} \in R^{s\times d}, \ V_i = {V_i^l,...V_i^L} \in R^{s \times d}$를 획득함
이때, $s$는 $s=\sum_{t=1}^L(s_r^l)^2$로 모든 level에 관한 focal region의 총합을 의미함
Overlap region을 완전히 배제하는 엄밀한 focal self-attention 방법과는 달리 focal Transformer에서는 overlap된 region의 pyramid information을 얻기 위해 이를 두기로 함
Relative position bias까지 포함하여 $Q_i$에 대한 focal self-attention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음
$$
Attention(Q_i,K_i,V_i) = Softmax(\frac {Q_iK_i^T} {\sqrt d} + B)V_i
$$여기에서 $B={B^l}_1^L$가 learnable relative position bias를 의미하고 $L$개의 focal level에 관하여 $L$개의 subset을 구성함
Sub-window pooling 때와 마찬가지로 input feature map의 첫 번째 local level에서는 $B^1 \in R^{(2s_p-1) \times (2s_p - 1)}$로 parameterize하여 horizontal과 vertical position이 모두 $[-s_p + 1, s_p -1]$ 범위에 오도록 함
다른 focal level의 경우 query 마다 granularity가 모두 다르다는 점에서 모든 query를 동일하게 window 안에 집어넣어 $B^l \in R^{s_r^l \times s_r^l}$로 나타내어 query window와 각각의 $s_r^l \times s_r^l$ pooling token간의 relative position bias를 나타냄
기본적으로 focal self-attention은 서로 다른 window끼리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위의 $Attention$ 식의 경우 따로 따로 계산이 가능함
Complexity analysis
- Window wise attention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computational complexity를 분석할 수 있음
- Input feature map $x \in R^{M\times N \times d}$에 대하여 focal level 1에서 $\frac M {s_w^l} \times \frac N {s_w^l}$개의 sub-window를 생성할 수 있음
- 각 sub-window마다 pooling operation은 $O((s_w^l)^2d)$의 complexity를 가지고 있고 모든 sub-window를 가지고 오면 $O((MN)d)$, 여기에 모든 focal level을 가지고 오면 $O(L(MN)d)$만큼의 complexity를 가지며 이는 각 focal level의 sub-window size와는 별개이다.
- Window wise attention에서 정의한 $Attention$ computation을 고려하면 size가 $s_p \times s_p$인 특정 query window에서의 computational cost는 $O((s_p)^2\sum_l(s_r^l)^2d)$이고 전체 input feature map에 관한 computational cost는 $O(\sum_l(s_r^l)^2(MN)d)$이다.
- 위와 같은 사항을 모두 정리하여 도출한 focal self-attention에 대한 전체 computational cost는 $O((L+\sum_l(s_r^l)^2)(MN)d)$이다.
- 이때 모든 query에 관하여 global receptive field를 강하게 보이게 하는 극단적인 case의 경우 $s_r^L = \frac {2max(M,n)} {s_w^L}$로 setting 가능
4. Trials
Image Classification
- ImageNet-1K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method를 비교하였는데 공정성을 위해 모든 model은 epoch 300, batch-size를 1024로 두었음
- 이때, learning rate의 경우 $10^{-3}$으로 초기화하였고 $10^{-5}$부터 시작하여 20개의 epoch마다 warming up 과정을 진행하며 Adam W를 optimizer로 사용하였고 weight decay를 0.05로 설정하여 maximum gradient norm은 5.0까지 올라감
- Data augmentation의 경우 모두 동일 하게 적용하였고 random erasing을 진행한 후 augmentation 반복 후 EMA 값을 구하게 됨
- 시행 결과 baseline model에 대한 summarize를 진행한 결과 Focal Transformer가 parameter 개수와 complexity가 비슷한 기존의 SoTA model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
- 이는 window size를 늘렸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SoTA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고 51.1M개의 parameter만으로 83.5%의 Top-1을 달성함
'컴퓨터비전 : CV > CV 논문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리뷰] CoCa : Contrastive Captioners are Image-Text Foundation Models (0) | 2023.03.12 |
---|---|
[논문 리뷰] GoogLeNet : Going deeper with convolutions (0) | 2023.03.04 |
[논문 리뷰] Mask R-CNN (1) | 2023.01.14 |